본문 바로가기

문학

[문학이론] 외국시인 릴케 소개(가을날 해석)

[가을날]

주여, 가을이 왔습니다. 여름은 참으로 길었습니다.
해시계 위에 당신의 그림자를 놓으십시오.
들에다 많은 바람을 풀어 놓으십시오.

마지막 과실들을 익게 하시고
이틀만 더 남국의 햇볕을 주시어
그들을 완숙케 하여
마지막 단맛이 진한 포도주 속에 스며들게 하십시오.

지금 집이 없는 사람은 이제 집을 짓지 않습니다.
지금 고독한 사람은 이후에도 오래 고독하게 살면서
잠자지 않고, 읽고, 그리고 긴 편지를 쓸 것입니다.
바람이 불어 나뭇잎이 날릴 때, 불안스레
이리저리 가로수 길을 헤맬 것입니다.

--------------------------------------------------------------------------------------------

1875~1926 라이너 마리아 릴케

시인 소개


라이너 마리아 릴케, 오스트리아 시인이며 프라하 출신입니다.

어린 시절 릴케의 부모는 이혼했고, 1886~1890간 군사학교에서의 생활이 시작됩니다.

하지만 릴케의 풍부한 시인적 소질은 군사학교에서 견디기 힘들었습니다. 나중에 릴케는 이때의 시절은 가장 참담한 시기였다고 말할 정도였습니다.

그래서 1891년 도중에 중퇴를 결심하고 프라하 대학에 입학하여 문학수업을 듣게 되었고, 그의 시인적 기질을 깨우쳐 시인으로서의 새 출발을 하게 되는 게기가 되었습니다.

그의 시들은 최초 몽상적인 낭만적 시에서 점차 자신만의 개성을 찾아 시에 종교성을 부여하여 사랑과 고독 그리고 죽음에 대해서 고찰하는 시들을 써 내려갔습니다.

그는 인간의 존재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며 이렇게 바라보는 릴케의 시선은 자연스레 그의 시에서 흔적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작품 소개


'가을날'은 릴케의 대표작인 아주 유명한 시입니다.

'가을날'이라는 한 편의 시만으로도 릴케를 20세기 대표하는 시인의 반열에 오르게 할 정도로 유명합니다.

시 해석

1.
주여, 가을이 왔습니다. 여름은 참으로 길었습니다.
해시계 위에 당신의 그림자를 놓으십시오.
들에다 많은 바람을 풀어 놓으십시오.

긴긴 여름이 끝이 나고 그동안 노력의 결실을 맺기 위해 조물주에게 명령하는 어조로 시작합니다.

그리고 그림자와 해시계, 들판과 바람은 상호 호응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해시계는 그림자를 통해 시간을 알리고, 바람은 들판의 출렁거림으로 모습을 나타냅니다.

유형(有形)으로부터 무형(无形)의 존재가 드러나지는 과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즉 신의 창조물에서(有形) 신의 존재가(无形) 드러나지는 과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2.
마지막 과실들을 익게 하시고
이틀만 더 남국의 햇볕을 주시어
그들을 완숙케 하여
마지막 단맛이 진한 포도주 속에 스며들게 하십시오.

앞서 나온 바람은 두 번째 단락으로 이어져 나갑니다.

여전히 여기서도 명령하는 어조를 유지합니다.

사실 여기서의 단락은 포도주를 만드는 과정을 연상시킵니다.

바람은 과실을 맺게하고 잘 자란 과실은 포도주로 재탄생하는 과정입니다.

3.
지금 집이 없는 사람은 이제 집을 짓지 않습니다.
지금 고독한 사람은 이후에도 오래 고독하게 살면서
잠자지 않고, 읽고, 그리고 긴 편지를 쓸 것입니다.
바람이 불어 나뭇잎이 날릴 때, 불안스레
이리저리 가로수 길을 헤맬 것입니다.

마지막 단락에서 릴케의 시 구조의 면모를 알게 됩니다.

첫 번째 단락에서는 신의 섭리를 의미하며
두 번째 단락에서는 신의 섭리의 결과물이 재탄생을 하는 모습을 보이며
세 번째 단락에서는 신에서 인간으로 초점이 맞춰지며 삶에 대한 고찰을 합니다.

마지막 단락의 해석에 따라 시의 의미가 확연히 달라질 수 있습니다.

릴케가 시를 쓴 당시 상당 부분 성경적 요소가 많이 내포되어 있습니다.

예시로는
두 번째 단락 포도주의 탄생과정은 성경의 한 알의 밀알이 죽어 열매를 맺는 상징을 차용했으며

세 번째 단락에서 집이 없는 사람은 이제 집을 짓지 않습니다. 여기서는 성경에서의 세례 요한을 연상케 합니다.
세례 요한은 광야에서의 삶을 보냈고 이리저리 떠돌아다니며 거처가 없이 하루하루를 보냈습니다.
그는 신의 축복을 받아 매일 신의 일용한 양식을 먹으며 살아왔습니다.

이 세례 요한의 파트는 앞서 말한 두 개의 단락 자연의 축복과 어느 정도 연관을 보이며 서로 호응되는 모습을 보입니다.

그리고 여기서의 고독은 우리가 평소에 생각하던 고독의 의미보다는 약간 다르게 해석되어야 합니다.

홀로 깨어있는 자의 고독. 삶을 정면으로 받아들이며 내심 느끼는 불안감. 거처가 없이 떠돌아다니는 자.

이러한 장면들은 니체의 [자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한다]를 연상케 합니다.

실제로 릴케의 몇몇 고찰은 니체의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
  
정처 없이 떠도는 자, 모두가 잠들어 있고 홀로 잠자지 않는 깨어있는 자. 자라투스트라입니다.

그가 느끼는 고독이야 말로 가을밤에서 릴케가 언급하려는 고독이라 보는 게 적합하다 생각합니다.